양자 센서 (Quantum Sensor)
편집하기 (부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여러 가지 측정 방법들의 소개== 일반적으로, 임의의 관측 가능량(observable)을 측정(measurement)하는 것을 실제로 구현하기는 어렵다. 아래에서는 양자 광학 센싱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측정 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단광자 검출 (Single-photon detection)=== 양자 광학 센싱 뿐 아니라 다양한 양자 광학 실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는 단광자 한계점(single-photon-threshold) 검출기이다 <ref name = "Invited review article: Single-photon sources and detectors"></ref><ref name = "Single-photon detectors for optical quantum information applications">R. H. Hadfield , Single-photon detectors for optical quantum information applications, Nature Photonics volume '''3''', 696 (2009). doi:[https://doi.org/10.1038/nphoton.2009.230 10.1038/nphoton.2009.230].</ref>. 이를 줄여서 단광자 검출기라 부른다. 단광자 검출기는 해당 모드에서, 단광자 이상의 빛의 에너지와 단광자보다 작은 빛의 에너지, 즉 진공을 정확하게 구분한다. 다시 말해, 광자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on’)와 아예 없는 경우(‘off’)를 구분하기에, 관용적으로 on-off 검출기라 부르기도 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m$$-광자 에너지를 한계점으로 사용하는 검출 장치도 연구되었지만, 다양한 양자 응용기술에서 단광자와 진공을 구분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에, 대부분 단광자 검출기를 실험에서 사용한다. 임의의 빛에 대해서, 단광자 검출기는 ‘on’이나 ‘off’라는 측정 결과를 주고, 각각의 측정 결과에 대응되는 이상적인 단광자 검출기의 projector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hat{\Pi}_{\text{off}} = \vert 0 \rangle \langle 0 \vert \] \[ \hat{\Pi}_{\text{on}} = \mathbb{I} - \vert 0 \rangle \langle 0 \vert \] 이를 사용하면 주어진 양자 상태 $$\rho_{x}$$에 대한 측정 확률 $$p(y \vert x) = \text{Tr} \left[\hat{\Pi}_{y} \rho_{x} \right]$$을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셔 정보 값 $$F(x)$$를 구할 수 있다. 위 projector는 이상적인 단광자 검출기에 관한 것이고, 실제 단광자 검출기는 측정 효율(detection efficiency), 다크 카운트(dark count) 등의 현실적 요소들을 포함한 projector들을 사용해서 기술해야 한다 <ref name = "Modified detector tomography technique applied to a superconducting multiphoton nanodetector">J. J. Renema ''et al.'', Modified detector tomography technique applied to a superconducting multiphoton nanodetector, Optics Express '''20''', 2806 (2012). doi:[https://doi.org/10.1364/OE.20.002806 10.1364/OE.20.002806].</ref><ref name = "Semiempirical Modeling of Dark Count Rate and Quantum Efficiency of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M. K. Akhlaghi and A. H. Majedi, Semiempirical Modeling of Dark Count Rate and Quantum Efficiency of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19''', 361 (2009). doi:[https://doi.org/10.1109/TASC.2009.2018846 10.1109/TASC.2009.2018846].</ref>. 단광자 검출기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실험에서 사용된다. 첫 번째는 광전류의 증폭 기능이 있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인 어발란체 포토다이오드(avalanche photodiode - APD)를 사용하는 것이고 <ref name = "Avalanche photodiodes and quenching circuits for single-photon detection">S. Cova ''et al.'', Avalanche photodiodes and quenching circuits for single-photon detection, Applied Optics '''35''', 1956 (1996). doi:[https://doi.org/10.1364/AO.35.001956 10.1364/AO.35.001956].</ref><ref name = "Geiger-mode avalanche photodiodes, history, properties and problems">D. Renker, Geiger-mode avalanche photodiodes, history, properties and problems,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Section A: Accelerators, Spectrometers, Detectors and Associated Equipment '''567''', 48 (2005). doi:[https://doi.org/10.1016/j.nima.2006.05.060 10.1016/j.nima.2006.05.060].</ref>, 두 번째는 흡수된 빛에 의해 초전도 상태가 깨지는 현상을 활용한 초전도 나노와이어 단광자 검출기(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 - SNSPD)를 사용하는 것이다<ref name =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 for quantum information">L. You,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 for quantum information, Nanophotonics '''9''', 2673 (2020). doi:[https://doi.org/10.1515/nanoph-2020-0186 10.1515/nanoph-2020-0186].</ref><ref name = "Waveguide-integrated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S. Ferrari, C. Schuck and W. Pernice, Waveguide-integrated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 Nanophotonics '''7''', 1725 (2018). doi:[https://doi.org/10.1515/nanoph-2018-0059 10.1515/nanoph-2018-0059].</ref><ref name =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 physics and applications">C. M. Natarajan, Superconducting nanowire single-photon detectors: physics and applications, Superconductor Science and Technology '''25''', 063001 (2012). doi:[https://doi.org/10.1088/0953-2048/25/6/063001 10.1088/0953-2048/25/6/063001].</ref>. ===광자 수 분해 검출 (Photon-number resolving detection)=== 위의 단광자 검출기는 광자의 존재를 명확하게 검출하지만, 광자 수의 분포를 측정할 순 없다. 광자 수 분포를 측정하는 것은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에서 모두 중요한데, 광자 수의 분포를 측정하는 장치를 광자 수 분해 검출기(photon-number-resolving detector) 또는 광자 수 계수기(photon-number counter)라 부른다. 광자 수 분해 검출기는 광자 수 $$n$$에 대한 측정 결과를 주고, 각 측정 결과에 대한 이상적인 광자 수 분해 검출기의 projector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hat{\Pi}_{n} = \vert n \rangle \langle n \vert \] 마찬가지로, 이를 사용하면 주어진 양자 상태 $$\rho_{x}$$에 대한 측정 확률 $$p(y \vert x) = \text{Tr} \left[\hat{\Pi}_{y} \rho_{x} \right]$$과 피셔 정보 값 $$F(x)$$를 모두 구할 수 있고, 현실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projector들을 사용하면 실제 광자 수 분해 검출기의 작동을 잘 기술할 수 있다 <ref name = "Tomography of quantum detectors">J. S. Lundeen, Tomography of quantum detectors, Nature Physics '''5''', 27 (2009). doi:[https://doi.org/10.1038/nphys1133 10.1038/nphys1133].</ref>. 양자 광학 실험에서 광자 수 분포는 공간적(spatial)/시간적(temporal) 멀티플렉서(multiplexer)와 여러 개의 단광자 검출기를 사용해서 주로 측정한다 <ref name = "Photon-number-resolving detection using time-multiplexing">D. Achilles ''et al.'', Photon-number-resolving detection using time-multiplexing, Journal of Modern Optics '''51''', 1499 (2003). doi:[https://doi.org/10.1080/09500340408235288 10.1080/09500340408235288].</ref><ref name = "Photon-number resolution using time-multiplexed single-photon detectors">M. J. Fitch, B. C. Jacobs, T. B. Pittman, and J. D. Franson, Photon-number resolution using time-multiplexed single-photon detectors, Physical Review A '''68''', 043814 (2003). doi:[https://doi.org/10.1103/PhysRevA.68.043814 10.1103/PhysRevA.68.043814].</ref>. 멀티플렉서란 입사된 빛을 $$M$$ 개의 공간 모드나 시간 모드로 나눠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입사된 빛의 평균 에너지보다 $$M$$이 충분히 크다면, 멀티플렉서의 각 출력 포트에서 두 개 이상의 광자가 발견될 확률은 거의 0에 가깝다. 따라서, 단광자 검출기를 이용해서 광자가 발견되는 출력 포트의 개수를 세면, 입사된 빛의 광자 수를 근사적으로 잘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흡수된 광자 수에 따른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Transition edge senso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ref name = "Noise-free high-efficiency photon-number-resolving detectors">D. Rosenberg, A. E. Lita, A. J. Miller, and S. W. Nam, Noise-free high-efficiency photon-number-resolving detectors, Physical Review A '''71''', 061803 (2005). doi:[https://doi.org/10.1103/PhysRevA.71.061803 10.1103/PhysRevA.71.061803].</ref><ref name = "High quantum efficiency photon-number-resolving detector for photonic on-chip information processing">B. Calkins ''et al.'', High quantum efficiency photon-number-resolving detector for photonic on-chip information processing, Optics Express '''21''', 22657 (2013). doi:[https://doi.org/10.1364/OE.21.022657 10.1364/OE.21.022657].</ref><ref name = "Titanium-based transition-edge photon number resolving detector with 98% detection efficiency with index-matched small-gap fiber coupling">D. Fukuda ''et al.'', Titanium-based transition-edge photon number resolving detector with 98% detection efficiency with index-matched small-gap fiber coupling, Optics Express '''19''', 870 (2011). doi:[https://doi.org/10.1364/OE.19.000870 10.1364/OE.19.000870].</ref><ref name = "Quantum characterization of superconducting photon counters">G. Brida ''et al.'', Quantum characterization of superconducting photon counters, New Journal of Physics '''14''', 085001 (2012). doi:[https://doi.org/10.1088/1367-2630/14/8/085001 10.1088/1367-2630/14/8/085001].</ref>. ===호모다인 검출 (Homodyne detection)=== 빛의 위상(phase)은 이미 위상을 알고 있는 다른 빛과 간섭시킴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ref name = "A Guide to Experiments in Quantum Optics">H-A. Bachor and T. C. Ralph, ''A Guide to Experiments in Quantum Optics'' (John Wiley & Sons, 2019).</ref>. 대표적인 방법은 통신 기술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호모다인(homodyne) 간섭계 또는 호모다인 검출이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ref name = "Noise in homodyne and heterodyne detection">H. P. Yuen and V. W. S. Chan, Noise in homodyne and heterodyne detection, Optics Letters '''8''', 177 (1983). doi:[https://doi.org/10.1364/OL.8.000177 10.1364/OL.8.000177].</ref><ref name = "Homodyne detection of the density matrix of the radiation field">G. M. D’Ariano, U. Leonhardt and H. Paul, Homodyne detection of the density matrix of the radiation field, Physical Review A '''52''', R1801 (1995). doi:[https://doi.org/10.1103/PhysRevA.52.R1801 10.1103/PhysRevA.52.R1801].</ref>. 양자 광학에서 사용되는 이상적인 호모다인 검출 projector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hat{\Pi}_{X(\phi)} = \vert X(\phi) \rangle \langle X(\phi) \vert \] 여기서 측정값 $$X(\phi)$$는 위상공간에서 $$\phi$$만큼 회전된 $$X$$축의 좌표값에 대응이 되고, $$-\infty$$에서 $$\infty$$까지 연속적인 값을 갖는다. 주어진 $$\phi$$에 대해서 호모다인 검출을 하면, 실수값 $$X(\phi)$$에 대한 확률 분포 $$ p \left(X(\phi)\vert x \right) $$를 얻을 수 있다. $$\phi$$를 바꿔가면서 호모다인 검출을 수행할 경우, 위상값 $$\{ \phi_{1}, \phi_{2}, \phi_{3}, \cdots \}$$ 각각에 대한 확률 분포$$\{ p\left(X(\phi_{1})\vert x\right), p\left(X(\phi_{2})\vert x\right), p\left(X(\phi_{3})\vert x\right), \cdots \} $$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활용하면 위상공간에서 준-확률 분포(quasi-probability distribution)로 빛의 양자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ref name = "Quantum Optics in Phase Space"></ref>.
요약:
한국양자정보학회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한국양자정보학회 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이름공간
문서
토론
한국어
보기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