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 개요
편집하기 (부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GHZ 상태 (Greenberger-Horne-Zeilinger State) = GHZ 상태란 3개 이상의 입자 사이에서 높은 비고전성을 보여주는 양자 상태로서, 다체 물리계에서의 [[얽힘]]과 비국소성에 관련하여 많이 연구되어 왔다.<ref name=Greenberger>D. M. Greenberger, M. A. Horne, and A. Zeilinger, ''Going beyond Bell’s theorem in Bell's Theorem, Quantum Theory and Conceptions of the Universe'' (Springer, 1989). [https://doi.org/10.1007/978-94-017-0849-4_10 doi:10.1007/978-94-017-0849-4_10].</ref> 다음과 같은 삼체(tripartite) GHZ 상태에 적절한 국소 측정을 수행하여, 최대 비국소성을 얻을 수 있음이 이른바 Mermin-GHZ 역설에 의해 알려져 있다.<ref name="Mermin">N. D. Mermin, Extreme quantum entanglement in a superposition of macroscopically distinct states, Physical Review Letters '''65''', 1838 (1990).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65.1838 10.1103/PhysRevLett.65.1838]. </ref><ref name="Greenberger"/> \[|\text{GHZ}\rangle=\frac{1}{\sqrt{2}}(|000\rangle+|111\rangle)\] GHZ 상태에 국소성이 최대 위배되도록 제안된 Mermin-GHZ 상관관계는 순수 다체 비국소성(genuine multipartite non-locality) 성질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f name=Cereceda>J. L. Cereceda, Three-particle entanglement versus three-particle nonlocality, Physical Review A '''66''', 024102 (2002). doi:[https://doi.org/10.1103/PhysRevA.66.024102 10.1103/PhysRevA.66.024102].</ref> Svetlichny에 의해 GHZ 상태를 활용하여 순수 다체 비국소성을 얻을 수 있으며<ref name=Svetlichny>G. Svetlichny, Distinguishing three-body from two-body nonseparability by a Bell-type inequality, Physical Review D '''35''', 3066 (1987). doi:[https://doi.org/10.1103/PhysRevD.35.3066 10.1103/PhysRevD.35.3066].</ref>, 더 나아가 Svetlichny 상관관계를 사용할 경우 양자역학에 의해 가능한 최대 위배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ref name=Mitchell>P. Mitchell, S. Popescu, and D. Roberts, Conditions for the confirmation of three-particle nonlocality, Physical Review A '''70''', 060101 (2004). doi:[https://doi.org/10.1103/PhysRevA.70.060101 10.1103/PhysRevA.70.060101].</ref> 삼체 GHZ 상태를 $$N$$개 입자, $$d$$차원 힐베르트 공간으로 일반화한 GHZ 상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text{GHZ}_{N,d}\rangle=\frac{1}{\sqrt{d}}\sum_{i = 0}^{d - 1}\left| i \right\rangle^{\otimes N}\] 삼체 GHZ 상태에 대한 Mermin-GHZ 역설을 위의 일반화된 GHZ 상태에 대하여 일반화한 결과는 2000년대 초반까지 특정 개수의 입자와 특정 힐베르트 공간 차원에 대하여 제안되었으나,<ref name="Zukowski">M. Żukowski and D. Kaszlikowski, Greenberger-Horne-Zeilinger paradoxes with symmetric multiport beam splitters, Physical Review A '''59''', 3200 (1999). doi:[https://doi.org/10.1103/PhysRevA.59.3200 10.1103/PhysRevA.59.3200].</ref> 2013년 임의의 $$N, d$$에 대해 일반화한 결과가 보고되었다.<ref name=Ryu>J. Ryu, C. Lee, M. Zukowski, and J. Lee, Greenberger-Horne-Zeilinger theorem for N qudits, Physical Review A '''88''', 042101 (2013). doi:[https://doi.org/10.1103/PhysRevA.88.042101 10.1103/PhysRevA.88.042101].</ref> 임의의 $$N$$값에 대한 다체 GHZ 상태에 대하여 순수 다체 비국소성을 갖는 상관관계 또한 제안된 바 있다.<ref name="Collins">D. Collins ''et al''., Bell-type inequalities to detect true n-body nonseparability, Physical Review Letters '''88''', 170405 (2002).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88.170405 10.1103/PhysRevLett.88.170405].</ref><ref name=Seevinck>M. Seevinck and G. Svetlichny, Bell-type inequalities for partial separability in N-particle systems and quantum mechanical violations, Physical Review Letters '''89''', 060401 (2002).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89.060401 10.1103/PhysRevLett.89.060401].</ref><ref name=Aolita>L. Aolita, R. Gallego, A. Cabello, and A. Acín, Fully nonlocal, monogamous, and random genuinely multipartite quantum correlations, Physical Review Letters '''108''', 100401 (2012).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108.100401 10.1103/PhysRevLett.108.100401].</ref>
요약:
한국양자정보학회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한국양자정보학회 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이름공간
문서
토론
한국어
보기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