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센서 (Quantum Sensor)
편집하기 (부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광자 수 상태=== 주어진 모드에서 양자화된 빛의 자유-해밀토니안(Free-Hamiltonian)의 에너지 고유 상태(eigenstate)를 광자 수 상태(photon-number state)로 정의하고, 이에 대응되는 에너지 고윳값(eigenvalue)을 광자 수(photon number)라 부른다 <ref name = "The Quantum Theory of Light, 3rd ed">R. Loudon, ''The Quantum Theory of Light,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ref>. 즉, 광자 수 상태란 빛의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 상태를 뜻하고, 단일 모드(single mode)에서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 \vert N \rangle = \frac{({\hat{a}}^{\dagger})^{N}}{\sqrt{N!}} \vert 0 \rangle \] 여기서 $$\vert 0 \rangle$$는 진공 상태이고 $$ \hat{a}^{\dagger} $$는 해당 보존 모드의 생성(creation) 연산자이다. $$N=1$$인 단광자(single photon) 상태 $$\vert 1 \rangle$$는 물리계의 상태가 높은 에너지 준위(level)에서 낮은 에너지 준위로 전이(transition)가 일어날 때, 자발 방출(spontaneous emission) 과정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ref name = "Invited review article: Single-photon sources and detectors">M. D. Eisman ''et al.'', Invited review article: Single-photon sources and detectors, Review of Scientific Instruments '''82''', 071101 (2011). doi:[https://doi.org/10.1063/1.3610677 10.1063/1.3610677].</ref>. 자발 방출을 이용한 단광자 생성은 확률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단광자가 언제 생성되는지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아래에서 소개할 쌍둥이-빔(twin-beam) 상태를 사용하는 예고(heralding)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ref name = "Invited review article: Single-photon sources and detectors"/><ref name = "Experimental realization of a localized one-photon state">C. K. Hong and L. Mandel, Experimental realization of a localized one-photon state, Physical Review Letters '''56''', 58 (1986).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56.58 10.1103/PhysRevLett.56.58].</ref><ref name = "Heralded single photon sources: a route towards quantum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hoton standards">S. A. Castelletto and R. E. Scholten, Heralded single photon sources: a route towards quantum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hoton standards,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Applied Physics '''41''', 181 (2008). doi:[https://doi.org/10.1051/epjap:2008029 10.1051/epjap:2008029].</ref>. 이는 아이들러 빔(idler beam)에서 단광자가 측정이 되면, 시그널 빔(signal beam)의 상태가 단광자 상태임을 확실히 알 수 있는 광자 수 상관관계를 이용한다. $$N>1$$인 임의의 광자 수 상태의 생성은 일반적으로 매우 어렵다. 단광자를 생성하는 방법과 비슷하게 쌍둥이-빔 상태를 사용해서 $$N$$-광자수 상태를 조건적으로 생성할 수 있지만 <ref name = "Generating antibunched light from the output of a nondegenerate frequency converter">D. Stoler and B. Yurke, Generating antibunched light from the output of a nondegenerate frequency converter, Physical Review A '''34''', 3143 (1986). doi:[https://doi.org/10.1103/PhysRevA.34.3143 10.1103/PhysRevA.34.3143].</ref><ref name = "NJP">NJP 8, 4 (2006)</ref>, $$N$$이 클수록 생성 확률 또는 생성 빈도수가 극도로 낮아지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광자 수 상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비선형(nonlinear) 유니타리(unitary) 연산이 필수적인데 <ref name = "First-Principles Determination of Chain-Structure Instability in">R. Yu and H. Krakauer, First-Principles Determination of Chain-Structure Instability in KNb $${\mathrm{O}}_{3}$$, Physical Review Letters '''74''', 4067 (1995).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74.4067 10.1103/PhysRevLett.74.4067].</ref><ref name = "Quantum state engineering via unitary transformations">A. Vidiella-Barranco and J. A. Roversi, Quantum state engineering via unitary transformations, Physical Review A '''58''', 3349 (1998). doi:[https://doi.org/10.1103/PhysRevA.58.3349 10.1103/PhysRevA.58.3349].</ref>, 원자(atom)-공동(cavity) 상호작용을 이용하거나 <ref name = "Quantum and semiclassical steady states of a kicked cavity mode">P. Filipowicz, J. Javanainen and P. Meystre, Quantum and semiclassical steady states of a kicked cavity mode,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B '''3''', 906 (1986). doi:[https://doi.org/10.1364/JOSAB.3.000906 10.1364/JOSAB.3.000906].</ref>, 비선형 물질을 이용하여 <ref name = "Possibility of producing the one-photon state in a kicked cavity with a nonlinear Kerr medium">W. Leoński and R. Tanaś, Possibility of producing the one-photon state in a kicked cavity with a nonlinear Kerr medium, Physical Review A '''49''', R20 (1994). doi:[https://doi.org/10.1103/PhysRevA.49.R20 10.1103/PhysRevA.49.R20].</ref><ref name = "Generation of Fock states and qubits in periodically pulsed nonlinear oscillators">T. V. Gevorgyan, A. R. Shahinyan, and G. Yu. Kryuchkyan, Generation of Fock states and qubits in periodically pulsed nonlinear oscillators, Physical Review A '''85''', 053802 (2012). doi:[https://doi.org/10.1103/PhysRevA.85.053802 10.1103/PhysRevA.85.053802].</ref> 비선형 유니타리 연산을 근사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한편, 비선형 연산은 측정이라는 과정을 통해서도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공동(cavity)을 통과한 원자들의 상태 측정을 통해 공동(cavity) 내에 광자 수 상태를 생성하는 방법과 <ref name = "Preparing pure photon number states of the radiation field">B. T. H. Varcoe, S. Brattke, M. Weidinger and H. Walther, Preparing pure photon number states of the radiation field, Nature '''403''', 743 (2000). doi:[https://doi.org/10.1038/35001526 10.1038/35001526].</ref><ref name = "Conditional Large Fock State Preparation and Field State Reconstruction in Cavity QED">M. França Santos, E. Solano, and R. L. de Matos Filho, Conditional Large Fock State Preparation and Field State Reconstruction in Cavity QED, Physical Review Letters '''87''', 093601 (2001).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87.093601 10.1103/PhysRevLett.87.093601].</ref><ref name = "Generating and Probing a Two-Photon Fock State with a Single Atom in a Cavity">P. Bertet ''et al.'', Generating and Probing a Two-Photon Fock State with a Single Atom in a Cavity, Physical Review Letters '''88''', 143601 (2002).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88.143601 10.1103/PhysRevLett.88.143601].</ref><ref name = "Deterministic Generation of Large Fock States">M. Uria, P. Solano, and C. Hermann-Avigliano, Deterministic Generation of Large Fock States, Physical Review Letters '''125''', 093603 (2020). doi:[https://doi.org/10.1103/PhysRevLett.125.093603 10.1103/PhysRevLett.125.093603].</ref> 비선형 매질로 구성된 간섭계를 통과한 빛의 상태 측정을 통해 간섭계의 다른 출력 모드에서 광자수 상태를 생성하는 방법이 <ref name = "Sculpturing coherent states to get highly excited Fock states for stationary and travelling fields">L. P. A. Maia, B. Baseia, A. T. Avelar and M. C. Malbouisson, Sculpturing coherent states to get highly excited Fock states for stationary and travelling fields, Journal of Optics B: Quantum and Semiclassical Optics '''6''', 351 (2004). doi:[https://doi.org/10.1088/1464-4266/6/7/013 10.1088/1464-4266/6/7/013].</ref><ref name = "Optical Fock-state synthesizer">G. M. D’Ariano, L. Maccone, M. G. A. Paris, and M. F. Sacchi, Optical Fock-state synthesizer, Physical Review A '''61''', 053817 (2000). doi:[https://doi.org/10.1103/PhysRevA.61.053817 10.1103/PhysRevA.61.053817].</ref> 제안되었다. [[File:Photon-number.jpg|none|thumb|400px|광자 수 상태의 에너지 준위]]
요약:
한국양자정보학회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자세한 사항은
한국양자정보학회 위키: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이름공간
문서
토론
한국어
보기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